본문 바로가기
건강지식

수족구 증상, 알아두면 대처가 쉬워요!

by 소소이내 2025. 5. 4.

📌 수족구 증상, 알아두면 대처가 쉬워요!

수족구병은 주로 영유아와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. 특히 여름철초가을에 유행하는 경우가 많아,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질병 중 하나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수족구병의 주요 증상과 함께, 어떻게 대처하고 예방하면 좋은지 정리해보았습니다.

 

🗂 목차

  1. 수족구병이란?
  2. 수족구병의 주요 증상
  3. 수족구병의 진행 과정
  4.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?
  5. 수족구병 치료 방법
  6. 수족구 예방법
  7. 자주 묻는 질문 (Q&A)

 

1. 수족구병이란?

유아들사진
출처: Unsplash

 

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(Coxsackie virus)나 엔테로바이러스(Enterovirus)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으로, 손, 발, 입 안에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기 때문에 '수족구병'이라고 불립니다. 보통 10세 이하 어린이에게 흔하며, 전염력이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.

 

2. 수족구병의 주요 증상

  • 미열 또는 고열 (38도 내외)
  • 입 안에 작은 궤양성 물집
  • 손바닥, 발바닥에 붉은 반점이나 물집
  • 목이 아프고 음식을 삼키기 어려움
  • 피곤함, 무기력증
  • 드물게 손톱, 발톱이 빠지는 경우도 있음

✔️ 초기에는 감기처럼 보일 수 있어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3. 수족구병의 진행 과정

  1. 잠복기: 감염 후 3~7일 정도
  2. 초기 증상: 미열, 인후통, 식욕부진
  3. 2~3일 후: 입 안, 손, 발에 수포 및 발진 발생
  4. 약 7~10일 후: 자연적으로 호전

 

✔️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, 아이가 매우 아파 보이거나 탈수 증상이 있다면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.

 

4.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?

출처: Unsplash

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:

  •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될 때
  • 물을 전혀 마시지 못해 탈수 우려가 있을 때
  • 무기력하거나 의식이 흐려지는 경우
  • 경련이나 심한 구토, 두통이 동반될 때

 

5. 수족구병 치료 방법

 

현재까지 특별한 치료제는 없으며, 대부분 대증 요법으로 치료합니다.

  • 해열제(예: 아세트아미노펜) 사용
  • 수분 보충 필수
  • 충분한 휴식
  • 자극 없는 부드러운 음식 섭취 (죽, 미음 등)
  • 물집 터뜨리면 2차 감염 위험 있음

 

6. 수족구 예방법

  • 외출 후 손 씻기 철저히
  • 장난감과 식기 자주 소독
  • 수족구 의심 시 어린이집 등원 중단
  • 기침 예절 지키기

✔️ 수족구병은 전염성이 강하므로, 예방이 가장 좋은 치료입니다!

 

👉🏻 자주 묻는 질문 (Q&A)

 

Q1. 어른도 수족구에 걸릴 수 있나요?
A. 네, 드물지만 어른도 감염될 수 있으며,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Q2. 수족구에 걸리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은 언제부터 갈 수 있나요?
A. 보통 열이 내리고 수포가 마른 후 등원이 가능합니다. 보통 7~10일 후를 권장합니다.

Q3. 수족구는 한 번 걸리면 다시 안 걸리나요?
A. 아닙니다. 바이러스 종류가 다양해서 여러 번 걸릴 수 있습니다.

Q4. 수족구는 어떻게 전염되나요?
A. 침, 콧물, 대변, 수포의 진물을 통해 전염되며, 공공시설, 장난감, 수건을 통해 간접 감염되기도 합니다.

 

🌿 마무리하며

출처: Unsplash

수족구병은 대부분 가볍게 지나가지만, 초기에 잘 관찰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이가 불편함을 호소할 땐 무심코 넘기지 말고, 증상을 세심히 살펴보세요. 또한, 전염력이 강하므로 손 씻기와 위생 관리로 예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 

 

✔️  포스팅이 도움이 되셨다면 공감과 댓글그리고 공유 부탁드립니다건강한 일상함께 만들어가요 :)